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77)
Old-school Psychiatry (2)
한음 한방신경정신과 (7)
마음건강 이야기 (80)
(81)
Project.힘숨찐 (0)
신문 (28)
천안아산점 진료기록 (7)
공보의 3년 (18)
즐겨찾기 (8)
공부 (30)
Connectome (1)
우울증 (3)
수면장애 (5)
습관성 음주 (3)
인지치료의 실제 (5)
소아정신병리의 진단과 평가 (1)
건강보험 (1)
논문 정리 (3)
Clinical Guideline (2)
임상연구 (11)
경희의료원 진료기록 (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공부/소아정신병리의 진단과 평가'에 해당되는 글 1건
2010. 1. 24. 06:41
[제1장] DSM-Ⅳ
1. 소아청소년 정신장애의 진단, 분류 과정
진단과정은 여러가지 중요한 질문들을 통해 개념화될 수 있다.

2. 진단 평가 도구들
대개 진단은 부모 면담, 아동 면담 및 행동평정척도들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지며, 투사적 검사와 신경심리학적 검사는 진단 과정에서 의심이 되는 특정 문제들을 보다 싶게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소아 정신장애의 진단 과정은 여러 정보원(source)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얻어 낸 정보들을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진단적 구조화를 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3. DSM-Ⅳ
1994년에 개정된 DSM-Ⅳ는 가장 최신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분류체계
범주적인 분류법을 채택
1) 아동기 정신장애를 중심으로 살펴본 DSM-Ⅳ의 발전 과정
(1) DSM-Ⅰ(1952)
"일시적인 상황적 장애"라는 이름하에 "아동청소년기 적응 반응"이라는 범주와 "아동기 정신분열증"의 두가지 범주가 포함되었다.
성인 진단 범주에 따라 진단
(2) DSM-Ⅱ(1968)
일부 소아기 정신질환에 대한 분류가 포함
크게 정신박약, 다른 곳에서 분류되지 않는 특수증상들 또는 소아청소년기의 행동장애로 분류
(3) DSM-Ⅲ(1980)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범주화하기 위해 발간
최초의 체계적인 분류법
5개의 축으로 나누어 진단을 내리는 다중 진단체계로 발전
아동기 장애는 정신지체/ADHD/품행장애/불안장애/기타장애/섭식장애/상동적 활동장애/기타 신체적 증상을 수반하는 장애/전반적 발달장애/특수 발달장애(축Ⅱ)로 범주화 되었으며, 몇가지 성인 진단 범주도 아동들에게 적용되었다.
복잡하게 다루고 더 세분화된 범주들을 제공해 주었지만, 이렇게 시분화된 범주가 실제로 존재하는지가 경험적 연구로 잘 지지되지 못했고, 체계의 신뢰도가 위협을 받기도 했다.
(4) DSM-Ⅲ-R(1987)
축Ⅱ에 정신지체,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장애, 비전형 자폐장애), 특수 발달장애(학업기술장애, 언어 및 말하기 장애, 운동기술장애)가 포함되었다.

2) DSM-Ⅳ 체계의 기본 특성
(1) 기술적 접근
(2) 진단기준
(3) 체계적인 기술
(4) 진단적 불확실성
정보가 불충분하거나 환자의 임상적인 증상과 병력이 전체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백한 규칙을 제공하고 있다.
(5) 다중 진단체계
축1:임상적장애/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되는 기타 장애/아형 및 세부진단(장애의 심한 정도와 경과)
축2:성격장애/정신지체
축3: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축4:심리-사회적, 환경적 문제
축5:전반적인 기능 평가

3) 아동청소년기 정신장애 진단 분류
○유아, 아동, 청소년기에 대개 처음으로 나타나는 장애들
-정신지체
-학습장애
-운동기술장애
-의사소통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및 파괴적 행동장애
-유아기 또는 추기 소아기의 섭식 및 식이장애
-틱장애
-배설장애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의 기타 장애

○유아, 아동, 청소년기에 대개 처음으로 나타나는 장애들에 포함되지 않는 장애들
-기분장애
-불안장애
-신체형장애
-인위적장애
-해리성장애
-성적장애 및 성정체감장애
-섭식장애
-수면장애
-정신분열병과 기타 정신증적 장애
-물질관련장애
-다른곳에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장애
-적응장애
-성격장애

○정신장애로 정의되지 않는 임상적으로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아동기 상태들
-관계의 문제들
-학대나 방치와 연관되는 문제
-사별반응
-경계선 수준의 지적기능
-학업문제
-소아나 청소년 반사회적 행동
-정체감문제

4) DSM-Ⅳ의 비판, 향후 연구과제 및 제언
-DSM 체계 내의 진단기준이 정적(static)특성을 가진다
-DSM-Ⅳ를 통한 진단은 아동에게 필요한 것을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한다
-어떤 진단기준에 대해서는 언어적 설명이나 경험적인 적절성이 부족하다
-다양한 장애들에 영향을 주는 상황 또는 맥락적 요인들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고 있다
-범주적 접근의 한계
-아동기 장애에 대해 진단기준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아동 및 청소년기에 진단 가능한 성인기 장애들의 아동 및 청소년용 기준을 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령에 따라서 증상의 변화가 심한 장애(예:우울장애)에 대해 각 연령별로 증상의 가중치를 다르게 두어 진단기준을 확립하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2장] ICD-10
1. 소아정신의학에서 장애에 대한 분류가 필요한 이유

2. 소아정신장애의 분류체계가 갖춰야 할 기준

3. WHO의 정신보건 역사
WHO는 1960년대 초반 정신장애의 진단과 분류 개선을 위한 연구계획에 참여하기 시작
1970년대는 정신의학의 질병 분류 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대
1982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분류와 진단에 관한 국제회의가 개최
1992년에는 ICD-10이 간행됨

4. ICD-10
1) 개요
ICD-10의 '정신 및 행동 장애'는 임상적 기술과 진단지침, 연구용 진단기준이라는 목적이 다른 2개의 판으로 구성.
임상적 기술과 진단지침 - 전반적인 임상, 교육 및 서비스에 기여하기 위한 것.
연구용 진단기준 - 연구목적을 위한 것.
단축용어집은 코드를 매기는 사람들이나 사용하는 사무원들에게 적합한 것. 참고자료. 정신보건 전문가들이 사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2) 진단기준
주된 임상적 특징 / 부수적 임상적 특징
확실한 진단을 내리기 전에 요구되는 증상의 수가 제시됨
confident/provisional/tentative - 임상가의 판단에 달려있음
증상의 지속기간에 대한 서술은 일반적인 지침으로서 고안된 것
3) ICD-10과 ICD-9 간의 주요 차이점
(1) ICD-10의 일반 원칙
분류에 이용할 수 있는 범주의 수를 확대
(2) 신경증(Neurosis)와 정신병(Psychosis)
10판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neurotic' : 신경증-정신병의 이원론 대신에 현재는 주요 공통 주제나 기술상의 유사성에 따라 여러 장애가 질병군으로 배열되어 있다
'psycotic' : 정신 역동적 기제에 관한 가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환각이나 망상의 존재 혹은 심한 흥분, 활동과다, 현저한 정신운동지체 및 긴장성 상태 등의 제한된 몇 가지 상태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3) 기타 차이점
기질적 원인에 기인하는 모든 장애는 F00-F09에 집결
정신활성물질 복용에 기안하는 정신 및 행동 장애도 F01-F19에 새로이 배열
정신분열병, 분열형장애 및 망상장애를 포함하는 부분(F20-F29)
생리적 기능장애나 내분비 변화와 관련된 행동적 증후군 및 정신장애(F50-F59)
전통적인 인격장애+병적도박, 방화, 도벽 등과 같은 새로운 장애 포함(F60-F69)
(4) 용어의 문제
-장애(disorder)
-심인성(psychogenic) 그리고 정신신체적(psychosomatic)
(5) 소아청소년 정신장애 분류
F80-F89 심리발달장애
F90-F98 소아청소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행동 및 정서장애
(6) 다축진단
축1 : 임상적 진단(Clinical diagnosis)
축2 : 무능력(Disablement)
축3 : 맥락요인(Contextual factors)

5. ICD-10 분류에 따른 소아청소년기 장애
F70-F79 정신지체
F80-F89 심리발달장애
F90-F98 소아, 청소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행동 및 정서장애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