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71)
Old-school Psychiatry (2)
한음 한방신경정신과 (7)
마음건강 이야기 (80)
(81)
신문 (28)
공보의 3년 (18)
즐겨찾기 (8)
공부 (31)
임상연구 (11)
경희의료원 진료기록 (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choose'에 해당되는 글 1건
2012. 6. 13. 10:24

우울증 ACT 회기 구성 요약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Key words: Accept, Choose, Take action.

 




(0) 정신과적 개인력 조사 : 치료자의 환자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환자의 병식 수준 파악

 

(1) 인지치료의 필요성(부정적 감정, 생리현상의 반복 경험) 교육 및 계약 :

1) “대화로 풀어보는 인지치료” PPT 교육, 상담 치료 기간(함께) 및 목표(치료자) 설정하기.

2) 사고기록지 작성 과제 제시

 

[part A. accept]

(2) 문제점 인식

1) “건강, 대인관계, , 그리고 놀이 행동들의 항목표작성을 통한 문제 생활 영역 발견

2) 실제 구체적인 내 삶과 연관지어 이를 받아들이기 : 사고기록지에서 반복되는 상황, 감정, 행동, 생각 찾기

3) 사고기록지 작성 과제 제시

(3) 내가 지금 힘든 이유 찾기

1) 사람들이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

수용=원치 않는 내적 경험에 대한 수용 vs. 거절

마음챙김=마음챙김 행동 vs. 자동조종장치로 생활하기

문제해결=어려운 상황에 접근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기 vs. 회피하기

2) “통증은 괴로움과 같지 않다” PPT : 내가 대처하는 방법에 따라 내 경험이 달라짐

3) 사고기록지에서 반복되는 상황, 감정, 행동, 생각 찾기

4) <건강, 대인관계, , 그리고 놀이 행동들의 항목표>에서 대처 방식(수용, 마음챙김, 문제해결)에 문제점 확인 : 절대 점수가 낮더라도 특정 영역에서 몰릴 경우 이 역시 문제임을 설명

5) 사고기록지 작성 과제 제시

6) “내가 지금 나의 삶을 살아가고 있으므로, 모두 괜찮다.” 확언 제시

 

(4) 삶의 덫 파악하기

1) 부정적 감정, 생리현상의 반복 경험되는 이유는 내가 모르는 덫에 빠져 있기 때문

비유) 방이 더러울 때, 우선 쓰레기를 침대 밑에 몰아넣으면 편하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어디선가 악취가 풍겨오고 벌레가 기어 다닌다면?

문제상황(상담, 사고기록지를 통해 파악한 내용)-> 거절, 자동사고/행동, 회피 -> 우선적으로 편함 -> 문제는 그대로 -> 증상 악화(현재 환자의 증상) -> (반복)

비유를 통해 삶의 덫의 예시 그림 보여주기.

2) 내 삶에서 이러한 덫 파악하여 그림그리기 :

환자 스스로 발견하고 완성하게끔 유도하고 기다려 줘야 함.

 

[part B. choose]

(5) 삶의 가치(나침반) 확인하기

나의 인생 버스

- 운전기사

여러 사건

(기억, 신체감각, 조건화된 감정, 프로그램된 생각, 역사적으로 생성된 충동 등)

승객

1) 내가 원하지 않는 승객이 탔을 때, 대처 방법?

이것이 삶의 덫이 만들어진 이유임을 설명. 이에 대한 대가는 자유.

원치 않는 승객을 뒷자석에 숨어 있게 하는 대신에, 당신은 그가 가고자 하는 곳으로 버스를 운전해야 함. => 통제력 상실,

버스가 어디를 향해 가는지는 승객의 순간순간의 변덕에 달려있지 않다. 목적지를 정하고 그곳을 향해 운전해 가는 것은 운전자에게 달린 몫. 당신은 버스 앞쪽 작은 표지판에 정확히 무엇이라고 쓰겠는가? 당신의 길은 무엇인가?

2) 지금까지 내 삶의 덫 -> 골치 덩어리 승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삶 ->고통 감소를 위한 삶

3)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바라십니까?

: 삶의 방향 설정을 타인에게 떠넘기지 말기. 하느님, 남편, 아들 등.

똑같은 사랑을 말하더라도 하느님이 원하는 사랑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사랑으로 말할 수 있도록 유도, 질문, 기다려 줄 것.

 

[part C. take action]

(6) 행동 계획 설정하기

1) 목표 설정하기

가치(달성불가한 이상적인 것. 사랑, 용서.)가 삶의 여정을 인도할 나침반의 방위라면,

목표(달성가능하며 실제적인 것. 봉사하기, 대화나누기.)는 그 방향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지도.

(장기) 목표, 작은(단기) 목표 나누어서 작성할 것.

2) 장애물 파악하기 :

지금까지 내가 장애물이라고 여겨왔던 부분들,

그것이 장애물인 이유,

실제로도 여전히 장애물인지/내가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인지.

아니라면 있는 그대로 놓아두며 수용/그렇다면 행동에 전념.

2) ‘있는 그대로 놓아두며 수용한다는 것이 나의 무기력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진실로 무기력함은 그 상황 자체라기보다 그 상황에 빠져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다. 나침반(가치)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행동 전념)만으로도 성공한 것.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