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71)
Old-school Psychiatry (2)
한음 한방신경정신과 (7)
마음건강 이야기 (80)
(81)
단상 (8)
스케치북 (7)
책장 (3)
육아 (0)
하루 (24)
IT (31)
RC (2)
아이스하키 (1)
신문 (28)
공보의 3년 (18)
즐겨찾기 (8)
공부 (31)
임상연구 (11)
경희의료원 진료기록 (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삶/IT'에 해당되는 글 31건
2013. 7. 2. 11:50

하나. 윈도7 재설치


과거 백업을 해뒀지만 뭔지 모르게 백업에서 복구가 잘 되지 않아, 결국 재설치 결정.

복구가 실패한 이유는,,

C드라이브(시스템, SSD)와 D드라이브(자료DB, HDD) 모두를 외장 하드드라이브에 백업했는데 C드라이브만 복구하길 바란...-_- 제길


이번에는 확실하게(!!)

각종 자료 백업, C드라이브 포맷, 윈도7설치, 필수프로그램설치, 시스템이미지 만들기 

의 protocol을 따랐다. 시스템이미지를 만들어 놓은 것은 후에 다시 컴퓨터가 느려질 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이었다.

과거 XP에서는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고스트이미지를 만들었어야 했지만, 윈도7부터는 이를 OS에서 지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 과정에서 참고 블로그 자료

윈도 관련 독보적인 포스팅: snoopy님

http://snoopy-textcube.blogspot.kr/2009/11/%EC%9C%88%EB%8F%84%EC%9A%B0-7%EC%9D%98-%EC%99%84%EB%B2%BD%ED%95%9C-%EB%B3%B5%EA%B5%AC%EA%B8%B0%EB%8A%A5%EC%9D%84-%ED%99%9C%EC%9A%A9%ED%95%B4%EB%B3%B4%EC%9E%90.html


(고급사용자를 위한) VHD를 이용한 하드 관리법

http://snoopybox.co.kr/category/Windows%207/VHD%20%EC%9D%B4%EC%95%BC%EA%B8%B0




둘. iTunes database 재연결


기존에 iTunes DB를 D드라이브에서 관리해오던 차라, 이를 새로이 옮길 필요는 없었다.

문제는 새로 설치한 프로그램에서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


1. 음악,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의 보관함 데이터 연결


기존 D드라이브에 위치하는 보관함을 다시 불러오는 일은 비교적 간단하다.


"보관함에 폴더 추가"를 누른 뒤


database가 있는 폴더를 선택해 주면 끝. 시간은 조금 오래 걸리지만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



2. 애플기기(아이폰, 아이패드)의 백업 데이터 연결


iTunes 자체에서 이를 설정하는 방법은 없다.




하지만 외부 세팅을 통해 이 역시 가능하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mklink 명령어


mklink 명령어는 윈도7에서 하드디스크에 일종의 웜홀을 뚫어주는 것이다.



우선 애플기기의 백업파일이 저장되는 경로를 알아야 한다.


(윈도7 기본설치의 경우)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Roaming\Apple Computer\MobileSync\Backup


여기서 중요한 점은 AppData 폴더 이하는 숨김 속성이 지정되어 있기때문에 디렉토리 주소를 직접 타이핑 해줘야 들어갈 수 있다. 


들어가보면 이 디렉토리 하에 백업파일이 요상한 이름의 폴더로 착착 저장이 된다.

기존 backup폴더는 지워버리고

이 곳에 mklink 명령어를 통해 웜홀 설치.





비어있는 MobileSync 폴더 안에서 Shift키를 누른상태에서 우클릭을 하시어


"여기서 명령 창 열기"를 선택한 후, 커맨드 창이 뜨면


mklink /d Backup (복사한백업폴더 경로)


이렇게 쓰시면 됩니다.  


제 경우를 예를 들면


mklink /d Backup D:\iTunes\MobileSync


이렇게 하시면 웜홀이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관리자 권한 문제로 mklink 명령어가 먹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참고: 관리자 권한 획득. http://skysummer.com/54 )




끝.



2013. 6. 24. 11:41

바다에서 살려면 물때를 알아야 한다죠 :)


그래서 바닷가에서 쓰는 달력은 육지에서 쓰는 달력과 약간 다릅니다.


매일 밀물과 썰물 시간이 적혀있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언제 물이 가장 많이 들어오는지, 또 언제 물이 가장 많이 빠지는지 알 수 있는거죠.





하지만 놀러가서 이런 달력 구하기가 쉽지 않죠^^;;;

BUT!!

요즘처럼 스마트한 세상에서 약간의 손 품만 팔면 정보 구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앱을 추천드립니다.

'바다낚시'라는 앱입니다.

낚시를 하지 않더라도 유용한 앱이랍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파란 점이 깜박깜박 하는 것이 현재 위치를 알려줍니다.

그러면 현재 계시는 곳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관측소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지역의 

조석예보 뿐 아니라, 날씨예보 정보까지 알려줍니다. :)

e-편한 세상 입니다.


빨간색 화살표는 물이 가장 많이 들어오는 밀물

파란색 화살표는 물이 가장 많이 빠지는 썰물 시간을 의미합니다.




바닷가 혹은 섬 여행을 계획하고 계신다면 

꼭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받아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끝.


2013. 6. 20. 01:08

중국 크래커들이 만든 애플기기용 프로그램.

콰.이.용.

快用

'기분좋게 사용한다'는 뜻이다.


기존 애플기기에 크랙 앱을 넣기 위해서는 탈옥 후 install0us류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했다.

즉, 탈옥이 필수였다.


그런데 올해 초 중국 크래커들이 사고(?)를 쳤다.

탈옥 없이도 크랙 앱을 넣을 수 있다는 것!!!

-_-

현재는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가 불가한 상태이다. (http://www.kuaiyong.com)

일부 인터넷 언론에서 콰이용을 기사로 다뤘지만 파급력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는지 현재는 모두 삭제된 듯 싶다.


초반에 테스트 겸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해보고 잊고 있었다.

그런데 얼마전 콰이용 사용자들에 대한 한 블로거의 조언글(?)을 보고 삭제하기로 마음 먹었다.

내용인 즉슨 콰이용 설치시 앱 공유를 위한 P2P 그리드가 함께 설치되어 백그라운드에 상주한다는 점.


요즘 괜시리 버벅대던 컴퓨터 탓에 짜증이 약간 나 있던 차.

잘됐다 싶어 프로그램을 삭제하기로 마음먹었다.


제어판-프로그램 제거 고고씽

그런데 왠걸

뭔가 찝찝하다.


콰이용 시스템폴더라고 되어 있는 것이 떡하니 남아있는 것이 아닌가. 물론 프로그램 삭제 후라 제대로 작동하지는 않았다. (미리 캡쳐를 해놓지 못해서 삭제 전 이미지는 없음;;)


프로그램 폴더를 직접 찾아 들어가보니 kuaiyong 폴더가 남아 있었다.

1차 삭제 시도

삭제 불가-_-;;;;;;;;;;;;;;;;; ㅅㅂ

범인을 추리기 위해 폴더 하나하나 삭제시도


범인은 바로 "C:\Program Files (x86)\kuaiyong\DRM\shellext64.dll"


dll은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는 필수 파일이기 때문에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라면 일반적으로 삭제가 불가하다.

뭐가 이 놈의 dll을 담고 있는 프로그램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은 함.정.

때문에.

delete 키를 아무리 눌러도 삭제불가

안전모드 부팅에서도 삭제불가

...

ㅜㅠㅜㅠㅜㅠ


구글링 시작!!


삭제되지 않는 파일이나 폴더를 강제 삭제하는 프로그램 발견ㅋㅋㅋ

하지만 역시 삭제 불가

lock된 파일이 아니란다-_- 젠장


결국 dll을 레지스트리에 직접 등록/제거하는 법까지 찾아보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패스!!!

핵심은

=>

DLL이나 OCX를 레지스트리에 등록하거나 제거..

regsvr32를 이용한다.. 


예) 

regsvr32 "C:ProjectNeoTest 2.60_Output_Debugeoweboardax.ocx"

regsvr32 /u  "C:ProjectNeoTest 2.60_Output_Debugeoweboardax.ocx"

regsvr32 /s  "C:ProjectNeoTest 2.60_Output_Debugeoweboardax.ocx"

regsvr32 /s /u  "C:ProjectNeoTest 2.60_Output_Debugeoweboardax.ocx" 

regsvr32 /s /c  "C:ProjectNeoTest 2.60_Output_Debugeoweboardax.ocx"


/u : Unregister

/s : Silent

/c : Console output


자세한 기전은 우선 넘기고

적용부터 해본다.


1. 윈도키+R

2. regsvr32 /u "C:\Program Files (x86)\kuaiyong\DRM\shellext64.dll"


해당 dll 레지스트리 제거 메세지가 뜬다.

하지만 여전히 삭제 불가

재부팅


최후의 삭제 시도...............


삭제 성공!!! ^ㅁ^






한시간 삽질한게 억울해서 공유합니다

-_-






2012. 6. 12. 09:31

지난 밤 세계개발자회의(WWDC 2012)에서 애플은 iOS6를 소개했습니다.(참고: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0612035708200가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다지만, 제게 있어 가장 큰(!) 관심사는 SIRI였습니다. 아이폰4S와 함께 1년여 전 이 세상에 불쑥 나타나서 사람 가슴을 마구마구 충동질 해놓고... 정작 한국어 지원이 안되서 제대로 느껴볼 수가 없었죠.



한국어로 위에 광고와 같은 생활을 누릴 수 있다면 우리 생활은 정말이지 큰(!) 변화가 생길거고, 곧 그게 일상이 되겠죠. :)


게다가 아이패드의 iOS6에서도 SIRI를 만나볼 수 있다고 합니다 :ㅇ 전 아직 3GS모델을 사용하는지라, 5가 나올때까지 침만 흘릴 예정이었는데... 아이패드에서 지원된다니 정말 좋습니다. ^ㅁ^


한국 일부 언론에서는 이번 WWDC에서 아이폰5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애플이 삼성의 독주를 가만히 지켜보느니 어쩌느니 하지만, 

사실상 iOS6는 기존 기기에 바로 적용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디바이스를 하나 내놓는 것 이상의 변화죠.


어서 빨리 업데이트가 진행되길 바랍니다.  :)



PS.

게다가 iOS6부터는 와이파이 망 외에서도 페이스타임(!!!!)이 사용가능해진다고 합니다. 얼마전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을 허용하느니 마느니 이 ㅈㄹ을 떠는 상황에서 애플이 한국 시장에 신의 한수를 두네요. 

급변하는 통신 시장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2012. 6. 3. 22:07

2012-06-03


올해 새로 나온 아이패드 신형을 사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아이패드2는 부모님께 long distance 디지털앨범 및 자동차 네비로 쓰시라고 드렸습니다. 

태어난지 얼마 안된 손녀 사진, 동영상 보시는 재미로 매일매일 즐거워하시더군요.


그런데 갑자기 며칠전, 

아침에 일어나보니(?) 아이패드가 안된다는 겁니다. 헐...

정말 아침에 일어나보니 그런건지 뭘 잘못 손대신건지 판단이 안됩니다만,

부모님 집 주변 애플 서비스 센터에 가지고 가니 38만원 돈 내고 리퍼 받으란 소리뿐 입니다. 

-_-

아이패드 새로 산건, 꼭 애플케어 추가로 사야겠다고 맘먹게 만드네요...ㅎ

암튼 전화로 이리저리 설명드리고 설정 바꿔보게 했지만 별 효과는 없습니다.


거의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엄마, 나 더 이상 못하겠어..."라고 말하고 

일하다가 도중에 혹시나해서 구글링 해봤더니...

이런 일이 저 말고도 또 있네요(!) ^-^ㅋ;;;

근데 요놈은 탈옥도 안했고 순정으로 조용히 사용중이었는데 이럴수도 있나 싶긴합니다. -_-


APN 설정을 수동으로 해서 해결되거나,

알수없는 문제로 모든 데이터 다 초기화 한뒤 해결되거나, 

단자의 접촉불량으로 인해 손으로 팡팡 세게 때리면 해결 될 수 있다는데요...


우선 엄마께 택배로 아이패드2를 보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화요일이나 수요일쯤 물건 받아보면 설정 건드려보고, 혹시 해결되면 시도해본 방법들 정리해서 올려볼 예정입니다.


...to be continued.



2012-06-05


엄마로부터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혹시나 고장날까 신문지로 뽁뽁이로 박스안에 가득 채워놓으셨습니다. ^^ㅋ


시도할 방법 목록


1. APN 재설정

2. 네트워크사업자 업데이트

3. 네트워크 및 컨텐츠 재설정

4. iOS 업데이트

5. 완전 초기화

6. USIM 확인


참고한 블로그 http://iphoneblog.co.kr/1274


(0)

우선 USIM 슬롯에 물리적 문제로 접촉불량이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새 데이터유심을 한번 꽂아두면 왠만해선 손대지 않기 때문에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였고, 내부적으로 접촉불량 문제가 있더라도 겉으로 문제를 확인할 방법은 묘연해보입니다. 

손으로 세게 때려서 문제가 해결된 분들도 있다하셔서 몇번 따라해봤지만 역시나 안됩니다. 또한 '서비스안됨'문구가 뜨기전에 검색중...문구가 뜨는 것으로 보아 물리적 접촉불량 문제는 아니라고 결론 내립니다.


(1)

APN은 이미 alwayson.ktfwing.com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_-


(2)

아이튠스 연결하여 네트워크사업자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만, 역시나 별 소용 없네요.


(3)

혹시나 하는 마음에 네트워크 및 컨텐츠 재설정을 진행합니다. 싹 다 날아가고 좌측상단에서 검색중 문구가 뜨지만 이내 서비스안됨 메세지가 뜹니다.


(4)

혹시나 하는 마음에 iOS 5.1.1로 업데이트를 진행해 봅니다. 역시나 별 소용 없습니다.


(5)

공장 설정값으로 완전 초기화하는 DFU 모드로 들어가서 설정해볼까도 해봤지만, 이미 시간도 많이 잡아먹었고, 또 앞에서 한 시도에서 변화가 없었다는 점에서 성공 가능성을 낮게 보고 포기합니다. -_-

(DFU모드 참고 블로그: http://iphoneblog.co.kr/252, http://yurion.net/1043)


(6)

USIM 자체의 문제만이 남았습니다.

사실 저는 이 부분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 미리 잠정진단을 내리고 있었지만, 애플 서비스 센터 직원이 본인 USIM을 넣어 확인해본 단계에서 반응이 없었다는 말을 엄마를 통해 전해들은지라... 애플 서비스 센터 직원의 문제파악 수준을 믿고자 제일 마지막 단계로 넣었습니다.

엄마께 드린 아이패드2에는 KT USIM이 꼽혀 있었습니다. 그런데 KT와 SKT 데이터쉐어링, 즉 OPMD 서비스에는 큰 차이점이 하나 있습니다. 등록한 기기에만 사용가능한가(KT) or 아무 기기에 모두 사용가능한가(SKT) 입니다. (참고 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erry7812&logNo=140127259170)


이 부분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데에는 나름 이유가 있었습니다. 제가 쓰는 핸드폰은 아이폰3GS이고 아이패드2에 물릴 데이터쉐어링 서비스를 신청했던 시점에서 KT에서 2년 약정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른 부가서비스료를 지불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올 2월 초, 2년 약정이 끝나고 아이폰5를 기다리자는 마음으로 상대적으로 통신비가 저렴한 에버그린 모바일(http://www.egmobile.co.kr)로 옮겼습니다. 에버그린 모바일은 가상 이동망 사업자 (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입니다. 즉, 자사 소유의 주파수 대역과 네트웍 기반시설을 갖지 않은 채 사업을 영위하는 이동통신 운영사업자입니다. 최근 통신비용 절감을 테마로 하는 언론에 노출이 자주되고 있는 서비스로, 통신을 대량 공동구매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에버그린모바일 역시 KT의 회선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죠. 이 부분에서 뭐가 꼬였는지 어쨌는지. 기존에 사용하던 부가서비스의 일부(데이터쉐어링 + 1)가 KT->에버그린모바일로 옮긴 이후에도 서비스가 지속되었습니다. 저한테 손해되는 일은 아니었기 때문에, 저는 그냥 조용히 감사히 잘 썼습니다. 데이터쉐어링도 이 과정에서 계속 사용되었구요. 

시점은 이상하지만 갑자기 안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때, 저는 속으로 '올게 왔구나'싶었습니다. 


결국 뉴아이패드에서 사용중이던 SKT 데이터쉐어링 USIM을 옮겨넣자마자, 잠시 후 3G를 잘~ 잡습니다. -_-

왜 애플서비스센터 직원은 3G통신모듈 고장이나 리퍼받으라고 하셨을까요...


암튼 아들래미는 데쉐 USIM을 갈아끼워서 부모님께 다시 택배로 고이 보내드렸습니다. =333




결론

1. KT->에버그린모바일 갈아타고, 4달간 데이터쉐어링 무료로 사용했음. KT 고맙습니다.

2. 광주광역시 애플 서비스센터 기사분은, 아마도 본인 KT 데이터쉐어링USIM을 넣고 안된다고 했거나, 혹은 아이폰에 넣는 통신용 USIM을 넣고 안된다고 했거나, 혹은 어리버리 잘 모르겠으니 리퍼하라고 했거나. 암튼 서비스센터 기사분으로서는 일정부분 역량 미달(!!!)이라고 판단됨.

3. 당분간 뉴 아이패드는 3G 못쓰게 생겼음 ㅋㅎ^^; 







 




2011. 10. 29. 15:28


아이튠즈의 설정을 백업해서 다른 PC, 다른 운영체제로 옮기는 방법을 알아보자.

기존 PC는 윈도우XP, 새로운 PC는 윈도우7일 경우이다. (윈도우7의 경우 권한 문제로 조금 더 귀찮다.)

1. 기존 PC에서 아이폰을 연결하고 백업 및 동기화를 한다.
    1-1. 최신 상태로 동기화를 하기 위해서 아이튠즈를 실행하고 아이폰을 연결한 뒤 동기화를 시켜줍니다.


2. 기존 PC에서 아이튠즈 관련 폴더 2개를 백업한다.
    2-1. 윈도우즈 탐색기를 열어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명\Application Data 폴더 내의 Apple Computer 폴더를 통째로 복사해서 백업한다.

    2-2. 내 문서\내 음악 폴더의 iTunes 폴더를 통째로 복사해서 백업한다.


3. 기존 PC에서 영화, 노래가 들어 있는 폴더를 백업한다.
    3-1. 아이폰에 동기화시킨 노래와 영화, 아이북 데이터를 백업합니다.

4. 기존 PC에서 인증을 해제한다.
    4-1. 아이튠즈에서 Store>이 컴퓨터 인증 해제 를 눌러 해당 PC의 인증을 해제해 줍니다.
          해제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최대 5대까지 PC인증이 됨으로 6대째 부터는 인증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5. 새로운 PC에 아이튠즈를 설치한다.


6. 새로운 PC에 백업된 아이튠즈 관련 폴더 2개를 복사한다.
     6-1. 백업한 데이터를 복사하려면 해당 폴더로 접근해야 하는데, 윈도우7의 경우 권한이 없다고 나오면서 복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권한을 먼저 수정해줘야 합니다.
         6-1-1. C:\Documents and Settings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서 '속성'을 누른다.
         6-1-2. '보안' 탭에서 '고급' 버튼을 누르면 뜨는 '고급 보안 설정' 창의 '소유자' 탭에서 '편집' 버튼을 누른다.
         6-1-3. Administrators 를 선택하고 '하위 컨테이너와 개체의 소유자 바꾸기' 를 체크한 뒤 '적용' 버튼을 눌러준다. 메시지 창이 뜨는 것들은 '확인' 버튼과 적절한 버튼을 눌러준다.


7. 새로운 PC에 백업된 영화, 노래가 들어 있는 폴더를 복사한다.
     7-1. 새로운 PC에 백업한 영화, 노래, 아이북 폴더를 복사해준다.
     7-2. 아이튠즈를 실행하고 해당 컨텐츠를 보관함에 추가해 준다.


8. 새로운 PC에서 아이폰을 연결하고 백업 및 동기화를 한다.
     8-1. 위 과정을 모두 마친 뒤에 아이폰을 연결하고 동기화를 눌러준다.
     8-2. 국가별로 여러 개의 아이디를 사용하고 있다면 동기화 과정에서 아이튠즈 로그인을 요구할 수 있다.

9. 끝.


[세줄요약]
1.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명\Application Data\Apple Computer
2.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명\My Documents\My Music\iTunes
3. 음악, 동영상, 아이북
위 3가지 폴더를 백업해서 새로운 PC의 해당 경로에 복사해준다.


* 본 글은 양씨닷컴 블로그(http://www.yangc.com/blog)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본 글의 저작권은 양씨닷컴(http://www.yangc.com)에 있습니다. 
* 출처를 밝히지 않는 무단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2011. 9. 21. 15:35

새글 작성을 하면 발행옵션이 잘 먹어들어가지만, 기존 글을 불러들여서 수정을 할 경우 "발행->공개"로 설정이 바뀌네요. 결국 사파리로 들어가서 다시 한번 눌러줘야 하는 수고로움이 ^^; 이건 프로그램 문제라기보다는 티스토리 측의 문제라고 개발자 블로그에 글이 있긴 합니다만, 빨리 수정됐음 하네요. ^ㅇ^

//
Blogger+로 작성한 글은 Blogger+로만 수정해야 그림이 안깨진다는 개발자 말도 있던데, 아직 안해봐서 모르겠네요. ㅎ 괜히 찜찜...ㅋ

2011. 9. 21. 15:31

몇 달 전 아이패드2로 티스토리에 블로깅하기 위해서 이것저것 시도해 보았고, 결론은 "아이폰용 티스토리 어플은 너무 불안정하고, 웹으로 접속하면 html을 써야 블로깅이 가능하며, 편하게 글을 남기려면 모바일웹 페이지로 접속을 하면되지만 사진을 남길 수는 없다." 였습니다. -ㅁ-ㅋ

꽤 늦은 여름휴가를 서울에서 즐기고 있는지라(ㅠㅜ) 시간이 많이 남았고 간만에 인터넷을 뒤적뒤적하다보니, 예전에 아이폰용 "photoshake"라는 사진 꾸미는 앱에서 티스토리로 바로 업로드하는 기능이 있었음을 떠올렸고, 관련해서 좀더 찾아보니 아니 왠걸! 아이패드로 사진 업로드를 포함한 티스토리 블로깅을 하시는 분들이 계셨습니다. ^ㅇ^

"Blogpress" 그리고 "Bloggerplus(or Blogger+)"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능했습니다.(티스토리 반성하라!)
Blogger+가 국내에서 계발된 어플이고 좀더 국내 블로그를 잘 반영해 줄것 같다는 막연한 기대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ㅎㅎㅎ 마침 2.99->1.99$ 싸게싸게 팔고 있네요.

구선생에게 Blogger+ 물어보시면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려주실테니 구연 설명은 접어두고 ㅎㅎ 사용해보니 참 편리합니다. 물론 데스트탑을 사용하는 게 가장 좋겠지만,,, 간단하게 그리고 아이패드에 담긴 사진을 활용해서 블로깅하기에는 매우 좋습니다.

제 경우에는 소니 a55로 찍은 사진을 아이패드2로 옮겨서 필름효과나 보정 살짝해주고 이걸 Blogger+를 통해 블로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로 찍은 사진은 두말할 필요도 없죠. ^^ (w/ 블루투스 키보드)

아이패드로 간단한 그림을 그려볼까 구상중이기 때문에, 패드로 그림을 그리고 이를 바로 Blogger+로 티스토리에 올리면 앞으로 꽤나 간단 편리할 것 같습니다.
//
그나저나 어제 롯데마트 애플샾에서 맥이랑 맥북에어 보니깐...ㅠㅜㅠㅜ 막막 가지고 싶고, 마누라도 사준다고 하는데, 차마 가격을 보면 지르지 못하는 가장의 속깊은 마음이 막 샘솟아서...^^;;; ㅎㅎ 참긴 참았는데, 애플이 물건을 참 갖고싶게끔 잘 만드는 것 같아요 ㅠㅜ 돈만 많으면....ㅋㅋㅋ

2011. 8. 28. 07:56
정발 아이패드2를 사서 Jailbreakme 3.0이 나오자 마자 탈옥을 해서, 여지껏 RetinaDisplay를 핵심으로 몇몇 기능을 잘 활용했었습니다. 예전 아이폰3gs도 처음에 탈옥을 해서 한두달 사용을 해봤지만 커스텀이니 뭐니 해도, 제 개인 취향으로는 결국 순정이 가장 편하더라구요.
아이패드2도 탈옥의 영향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갑자기 앱스토어에서 어플이 다운되지 않으면서("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없음" 멘트와 함께 :D ㅎㅎㅎ -_-^) 순정으로 돌아가기로 마음을 굳혔습니다.



문제는 아이패드2 3g 모델의 경우 shsh백업을 해두었더라도 "baseband update"문제때문에 돌아가기에는 넘어야 할 벽들(3194오류, 1013오류 등)이 너무 많았다는...ㅠㅜ 다행이 "tinyumbrella 5.00.09"가 나오면서 넘어설 수 있다 합니다. ㅎㅎ
저도 어제 저녁부터 삽질하다가 오늘 아침에 계속 파서 바닥을 보았습죠. 헐.

인터넷이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로 가득차 있지만, 내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한번에 찾기란 갈수록 어려워지기만 합니다.

순정으로 복원하면서 마지막 방점을 찍어주신 "폭주당근"님의 블로그 글 링크를 남깁니다.
(아이패드2 3g 모델 4.3.3 다운그레이드 혹은 순정복원 하시려는 분들은 이 글대로 진행하시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당면하게 되는 3194 오류 및 1013 오류를 넘기실 수 있습니다. ^^)
http://doha1979.blog.me/40135396088


 
2011. 8. 23. 13:57
얼마전 광주에 내려갔더니 엄마가 컴퓨터가 고장났다면서 잘 들어가지던 사이트가 접속하려면 너무 복잡하다고... 헐
살펴보니 예전에 엄마가 자주 가시는 다음 카페 즐겨찾기를 자동로그인으로 만들어드렸는데, 다음 측에서 자동로그인을 막으면서 발생한 문제였음.
검색을 해보니 자바스트립트로 자동로그인이 가능하게끔 만들어놓은게 있었다 ㅎㅎ
역시 사람은 검색을 잘해야..
이러고 설정해드리고 왔는데.. 멍미
내 컴퓨터에도 해놓으려고 보니 아이디 비밀번호만 적을 수 있는 짧은 설정밖에 안보임

javascript: document.write('<form style="visibility:hidden" name=lf method=post action="https://logins.daum.net/accounts/login.do"><input name="id" value="아이디"><input name="pw" value="비밀번호"><input name="go" value="%2Findex.htm"></form><script>lf.submit();</script>');


여기에서도 조금 손보면 카페 자동 로그인을 만들수..도 있을지..도 몰겠으나 -_-;;; 도처지 모르겠음 ㅋ


javascript: document.write('<form style="visibility:hidden" name=lf method=post action="http://cafe.daum.net/카페이름"><input name="id" value="아이디"><input name="pw" value="비밀번호"><input name="go" value="%2Findex.htm"></form><script>lf.submit();</script>');


구글링으로 검색해냄 ㅠㅜㅠㅜㅠㅜ 역시 별거 아니었음-_- 알고나면 별거아니래ㅎㅎ;;;



추가 자료

네이버

javascript: document.write('<form id="frmNIDLogin" action="https://nid.naver.com/nidlogin.login"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enctp" id="enctp" value="1"> <input type="hidden" name="encpw" id="encpw" value=""> <input type="hidden" name="encnm" id="encnm" value=""> <input type="hidden" name="url" id="url" value="http://www.naver.com"> <input type="hidden" name="id" id="uid" value="아이디"> <input type="hidden" name="pw" id="upw" value="패스워드"></form>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hellomid.com/tools/nlogi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tatic.nid.naver.com/enclogin/keys_js.nhn"></script>');

 

엠파스

javascript: document.write('<form name="nlf" action="https://xo.nate.com/LoginAuth.sk"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PASSWD_RSA"> <input type="hidden" name="ID" value="엠파스아이디@empas.com"> <input type="hidden" name="pw" value="패스워드"> <input type="hidden" name="redirect" value="http://www.nate.com"> </form>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www.nate.com/common/secure/js/rsa/secure_commo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login(f) { var evalue = "D1E4297D787302003419A2F758BD9C79A341255031E758D85D8FDA4E4577DEA0A0FEA7408B0E11A0505791BCA4E8E8DD1CA122873318F231A621C3C971B2BBAF1668BEAE76DAED7B2A1E510EE1292FDAF09BB4C930242BCB26ADBD7762BD02AC7D99E1BA2BCDDB4C5AC15D97CC5B0E31133D2C702BE762D29EADC6A12104B46B", nvalue = "10001"; var rsa = new RSAKey(); rsa.setPublic(evalue,nvalue); var d = "|^|"+f.ID.value+"|^|"+f.pw.value; var res = rsa.encrypt(d); if (res) { f.PASSWD_RSA.value = hex2b64(res); } f.submit(); } setTimeout("login(nlf)", 1); </script>');

 

네이트

javascript: document.write('<form name="nlf" action="https://xo.nate.com/LoginAuth.sk"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PASSWD_RSA"> <input type="hidden" name="ID" value="네이트아이디"> <input type="hidden" name="pw" value="패스워드"> <input type="hidden" name="redirect" value="http://www.nate.com"> </form>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www.nate.com/common/secure/js/rsa/secure_commo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login(f) { var evalue = "D1E4297D787302003419A2F758BD9C79A341255031E758D85D8FDA4E4577DEA0A0FEA7408B0E11A0505791BCA4E8E8DD1CA122873318F231A621C3C971B2BBAF1668BEAE76DAED7B2A1E510EE1292FDAF09BB4C930242BCB26ADBD7762BD02AC7D99E1BA2BCDDB4C5AC15D97CC5B0E31133D2C702BE762D29EADC6A12104B46B", nvalue = "10001"; var rsa = new RSAKey(); rsa.setPublic(evalue,nvalue); var d = "|^|"+f.ID.value+"|^|"+f.pw.value; var res = rsa.encrypt(d); if (res) { f.PASSWD_RSA.value = hex2b64(res); } f.submit(); } setTimeout("login(nlf)", 1); </script>');

 

야후

http://login.korea.yahoo.com/config/login?.src=www&.intl=kr&login=아이디&passwd=패스워드&.done=http://m.kr.yah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