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71)
Old-school Psychiatry (2)
한음 한방신경정신과 (7)
마음건강 이야기 (80)
(81)
신문 (28)
공보의 3년 (18)
즐겨찾기 (8)
공부 (31)
임상연구 (11)
경희의료원 진료기록 (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한의학'에 해당되는 글 3건
2022. 6. 1. 16:50

안녕하세요.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홍순상 원장입니다. 

"한의원에서 정신과 진료를 보나요? 한방신경정신과 처음 들어봤어요."

환자분들께서 제게 물어놓고 조금 민망스러워하시지만... 진료 현장에서 곧잘 듣는 이야기입니다.

#1. 한의사 전문의

한의사에도 "전문의"가 있습니다.
제가 전공한 "한방신경정신과" 뿐 아니라, 한방내과/침구과/한방재활의학과/한방부인과/한방소아과/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사상체질과. 총 8개의 보건복지부 인정 전문 진료과목이 있습니다.

1960년대부터 대학부속 한방병원에서 각 전문과목 진료가 있어왔지만,
공식적으로 첫 전문의 배출이 시작된 시점은 2002년입니다. (cf. 치과의사 전문의의 경우 2008년 첫 배출이 시작되었습니다.)

#2. 한의학 = 궁중 왕실의학 = 스트레스 심신질환

기본적으로 한의학은 통합적인 관점에서 몸과 마음을 함께 다루고자 합니다.

대중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한의사를 꼽자면, 조선시대 허준 선생님일 텐데요. 당대 임금님 곁에서 국정 운영에서 비롯된 과도한 스트레스, 이로 인한 다양한 신체화 증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셨고, 이를 인정받아 의관으로서 종 1품까지 오르셨습니다. 그리고 말년에 당대 의서에 본인의 진료 경험을 더하여 총 정리하신 책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입니다.

이렇듯 한의학은 궁중의학, 기본적으로 머리를 많이 쓰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질환을 중요한 질환의 한 축으로 바라보고 있기에, 현대인들의 각종 스트레스 신체화 질환에 효과적인 대응책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3. 약물+비약물 복합치료

정신질환은 그 특성상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습니다. 다양한 원인이 몸과 마음에 복합적인 상흔을 남깁니다. 때문에 증상이 호전된 이후에도 재발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증상을 안정적으로 개선,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에서 접근하는 복합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궁중 왕실에서 오랜 기간 효과가 안정성이 밝혀진 한약물 치료.
몸에서 뇌로 직접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침/뜸/추나/아로마 치료.
상황의 재인식을 돕고 주도적으로 삶을 끌어가는데 도움을 주는 상담 치료.
효과적인 내 몸 사용법을 익히는 이완명상 치료.

활용 가능한 다양한 복합치료 방법들은 한방신경정신과 치료만의 특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13. 5. 27. 11:55

오늘 아침 다음 아고라에 한의학이 과학이니 미신이니 하는 캐캐묵은 글들로 잔뜩 도배되었다고 한다.


한의학을 어찌 정의내리냐

하는 오래되고 식상한 내용에 숫가락 하나더 얹을 마음 없다.


상식적으로 바라볼 때, 이는 매우 단순 명료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 대부분은 거의 매일 집에서 밥을 요리해 먹는다.

그때 우리네가 뭘 해먹나.

보통 있는 반찬에 국끓어 먹겠지. 물론 파스타를 할 수도, 탕수육을 할 수도, 초밥을 만들어먹을 수도 있다.

우리가 해먹는 음식들의 정체는 뭘까? 

한식이냐? 양식이냐? 중식이냐? 일식이냐?

...사실 별 의미 없다.

그리고 한식, 양식, 중식, 일식 카테고리를 딱 나눌 수 없는 음식이 대부분이기도 하다.


그럼 한식이란 어떻게 정의내릴 수 있을까?

김치볶음밥은 한식이냐 아니냐

부대찌개는 한식이냐 아니냐

비빔밥, 김치, 된장찌개와 같은 음식들만이 한식일까

그럼 우리네 어머니들이 해주시는 음식은 한식이냐 아니냐

...사실 별 의미 없다.



오늘날 보통 한국사람들이 자연스래 즐겨 만들어먹는 음식들이 모두 한식 아닐까?


이는 모두 시대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해 가는 개념이라 믿는다.




2010. 9. 3. 16:59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침 치료의 효과 검증을 위한 임상연구 참가자를 모집한다.

참가대상은 만 7세 이상 만 18세 이하 ADHD로 진단된 소아․청소년으로, 임상연구 참가 기간 중 ADHD 관련 치료를 받지 않거나, 받더라도 시작 전 2주간 처치내용 및 증상에 변화가 없는 자이다.

모집기간은 2010년 9월부터 모집인원 마감까지이며, 임상참가자들은 매주 2회씩 6주간 방문하여 ADHD 진단 및 상담,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 집중력 검사 및 침 치료를 받게 된다. 02)958-9189.

사용자 삽입 이미지

prev"" #1 next